본문 바로가기

조계산

선암사와 600년 선암매(仙巖梅) (2010 남도여행 포스트 4) 약 5kg 정도의 배낭을 메고 조계산을 넘었지만 선암사에 당도 했을 때는 다소 지친 상태다. 하여, 보다 꼼꼼이 살펴보지 못했고, 차밭과 다원등을 들러 차 한잔 하지못한 아쉬움이 남는다. 먼저, 결론부터 시작하자면 처음으로 선암사를 찾은 나에게, 다른 사찰과는 특이한 점이 몇가지 눈에 띈다. 첫째, 사찰 건축물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오래된 고택(古宅)의 냄새를 풍긴다는 점이다. 말미에 선암사의 유래를 덧붙이겠지만 유독 수차례의 대형화재를 겪은 탓인지 전각들 대부분이 전면 증축되거나 개축되지 않고 보수가 필요한 부분들만 조금씩 손보아지며 가꾸어진 덕택에 다른 절들과는 확연히 다른 격조와 고풍스러움을 지니고 있다. 대부분 건축물의 처마, 기둥과 보에 채색되지 않았고 외벽도.. 더보기
송광사에서 선암사 가는 길, 조계산 자락 (2010 남도여행 포스트 3) 먼저, 曹溪山 이름의 내역을 살펴본다. 조계산이란 이름은 송광사와 선암사에 의해 태어났다. "송광사지"에 의하면 고려 희종 4년(1209)에 어릴 적부터 존경하던 보조국사가 옛 길상사 터(지금의 송광사)에 수선사를 세우고 승풍쇄신 운동인 정혜결사를 펼친다는 보고를 받으시고 기뻐하여 "조계산 수선사"라는 편액을 내리고 널리 찬양하였으므로 이때부터 조계산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전한다. 한편 1921년에 세운 "선암사 사적비"에는 고려 고종때 대각국사가 중창하고 산의 이름을 조계산으로 바꾸고.... 라는 기록도 있다. 아무튼 문헌으로 보아 조계산이 되기 이전에는 선암사측 주봉인 장군봉은 청량산, 송광사측의 효령봉(연산봉)은 송광산이란 각각의 이름으로 불린 것이 사실이며 두 사찰과.. 더보기
또다른 발견, 송광사 여행 (2010 남도여행 포스트 2) 이번 여행길에 다시찾은 송광사에서는 다른 모습을 보았다. 행운도 따랐고, 궁금증도 풀었다. 지난 법정스님의 다비식에 처음찾은 송광사에서는 웅장하고 아름다움에 매료되었다. 그때 구석구석 둘러보지 못한 아쉬움을 남기고 떠나왔던터라 이번에는 구석구석 살펴 볼 요량이었다. 다시찾아 보니 지난 번에 일부를 제외하고 모두 둘러 보았다. 그러나 불일암에서 법정스님의 향기를 느끼며 접어든 송광사에서 다른 모습을 발견했다. 곡선!, 굴곡! 대자연의 참모습이다. 해와 달도 둥글다. 흘러가는 구름도 곡선이다. 흐르는 강물도 굽이굽이 흐른다. 능선도 곡선이다. 모든 살아있는 모든 생명체도 곡선이다. 곡선에는 아름다움과 부드러움이 있다. 등산길도 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도 있어야 수월하지 않은가?.. 더보기
법정스님의 향기를 찾아서 시작하기 전에..... 지난 3월 12일, 1박 2일 일정으로 송광사를 찾았다. 그러나 법정스님 다비식 참석이 목적이었음으로 송광사를 구석구석 둘러보지 못했다. 그러나 만물이 생동하는 봄날 다시 찾기로 맘 먹은 바 있었다. 장엄함과 아름다움에 꽃이 피고 새싹이 돋아나는 봄날이 적합할 것 같았다. 송광사에서 조계산을 넘어 아도화상이 창건 했다는 선암사는 당일 코스로 트래킹 하기에 알맞을 것 같았다. 더구나 법정스님께서 17년간 머무신 불일암이 존재하는 것 만으로도 여행길을 떠나기에 충분했다. 당초 3박 4일 일정이었으나 1박을 추가하여 4박 5일 일정이 되었다. 1박 연장한 이유는 화개 벚꽃십리길의 야경 때문이었다. 여정을 정리하면 1일차 서울 - 순천 - 불일암 - 송광사 - 조계산 - 선암사 - 순천 .. 더보기
고찰 송광사(松廣寺) 송광사(松廣寺)는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에 있는 조계산 자락에 새둥지처럼 아늑하게 자리잡고 있다. 송광(松廣)이라는 이름에는 몇가지 전설이 있다. 그 첫째는 18명의 큰스님들이 나셔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널리 펼 절이라는 뜻이다. 곧 '송(松)'은 '十八(木)+公'을 가리키는 글자로 18명의 큰스님을 뜻하고, '광(廣)'은 불법을 널리 펴는 것을 가리켜서 18명의 큰스님들이 나서 불법을 크게 펼 절이라는 것이다. 둘째로 보조 국사 지눌스님과 연관된 전설이다. 곧 스님께서 정혜결사를 옮기기 위해 터를 잡으실 때 모후산에서 나무로 깍은 솔개를 날렸더니 지금의 국사전 뒷등에 떨어져 앉더라는 것이다. 그래서 그 뒷등의 이름을 치락대(솔개가 내려앉은 대)라 불렀다한다. 이 전설을 토대로 육당 최남선은 송광의 뜻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