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길도

고산 윤선도가 꿈꾸는 낙원 "보길도와 세연정 원림(園林)" 보길도 여행 마무리 포스트 윤선도는 (1587(선조 20)~1671(현종 12)) 서울에서 태어나 26세에 진사에 급제한 후 유배와 관직에 등용되기를 거듭했다. 인조 때에는 송시열과 함께 봉림(나중에 효종이 된다), 인평대군의 스승이 됐다. 그러다가 모함에 의해 좌천되어 1635년에 고향인 해남으로 돌아온다. 그후 고산이 쉰 살이 되던 해(1636년)에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난다.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피난하고, 왕의 가족은 강화도로 피신했다. 이 소식을 들은 고산은 집안의 노복들을 데리고 강화도로 가지만, 결국 인조는 청나라에게 항복하고 만다. 그 때 윤선도는 다시는 세상을 보지 않으려는 결심으로 뱃머리를 탐라(耽羅)로 향했다. 그 뱃길에서 풍랑을 만나 피하고자 닻을 내리 곳이 보길도 황원포이다. 수.. 더보기
고산 윤선도의 자취를 찾아서 작년 11월 청산도 일정을 단축하고 보길도에서 1박 하였으나 이제야 정리하여 2번째 포스팅 한다. 보길도라면 고산 윤선도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윤선도-尹善道,1587~1671, 본관은 해남(海南), 호는 고산(孤山)- 는 조선 중기의 문신·시인으로서 치열한 당쟁으로 일생을 거의 벽지의 유배지에서 보냈으나, 경사에 해박하고 의약·복서·음양·지리에도 통하였으며, 특히 시조에 뛰어나 정철의 가사와 더불어 조선시가에서 쌍벽을 이루고 있다. 고산 윤선도는 1636년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의병을 이끌고 강화도로 갔으나 회의를 맺었다는 소식을 듣고 제주도로 항해하다 풍랑을 만나 보길도의 황원포에 상륙하여 은거하였다. 보길도에서 13년이나 은거했던 고산 윤선도는 이곳의 자연과 친구가 됐다. 물과 돌과 소나무, .. 더보기
보길도 여정(旅程) 지난 해 11월, 청산도 여행 3박 일정을 변경하여 1박을 보길도에서 보냈다. 당초 예정에 없었으나 10여년전 홀로 해남 땅끝까지 둘러보며 보길도를 다녀오지 못한 것이 못내 아쉬웠고 다시 먼길을 나서기가 쉽지 않아 일정을 변경했다. 덤으로 나오는 길에 아내에게 해남 땅끝마을 까지 둘러보게 할 수 있는 쉽지 않은 기회인지라 청산도 일정을 변경하였다. 1박 2일 여정 이었지만 자세히 살펴보려니 몇 차례 나누어 포스트 해야겠다. 보길도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이고, 윤선도하면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를 빼놓을 수 없다. 하여 다음 편에 "윤선도의 자취를 따라서"와 "세연정과 어부사시사"를 중심으로 포스팅 하고 오늘은 보길도의 자연을 소개해 볼까 한다. 먼저, 섬의 유래를 보면 ‘.. 더보기